
그림에 나타낸 바이폴라 결선 방식은 한 권선에 전류가 양방향으로 흐르는 구동 방식(바이폴라 구동)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의 모터는 구조가 간단하고 단자 수가 적지만, 한 단자의 극성을 제어해야 하므로 구동 회로가 복잡해집니다. 그러나 이 모터는 권선 이용률이 좋고 미세 제어가 가능하여 높은 출력 토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코일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내전압이 낮은 모터 구동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극 연결

그림과 같이 단극 결선은 중앙 탭을 가지며, 한 권선에서 전류가 항상 고정된 방향으로 흐르는 구동 방식(단극 구동)을 사용합니다. 스테퍼 모터의 구조는 복잡하지만, 전류의 ON/OFF 제어만 필요하기 때문에 구동 회로는 더 단순합니다. 그러나 권선 활용도가 낮아 바이폴라 결선에 비해 출력 토크가 약 절반 정도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또한, 전류의 ON/OFF는 코일에 큰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므로 높은 내압의 모터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핵심 포인트
양극성 연결스테퍼 모터
한 권선에서 전류가 양방향으로 흐르는 구동 방식(바이폴라 구동)을 사용합니다.
구조는 간단하지만 구동 회로는 복잡하다스테퍼 모터.
권선 활용도가 좋고 미세 제어가 가능하므로 스테퍼 모터는 높은 출력 토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코일에서 생성되는 역기전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내전압이 낮은 모터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테퍼 모터의 단극 연결
센터탭이 있고, 전류가 항상 고정된 방향으로 흐르는 권선을 사용하는 구동 방식(단극 구동)입니다.
구조는 복잡하지만 스테퍼 모터의 구동 회로는 간단합니다.
권선 활용도가 낮으므로 바이폴라 연결에 비해 스테퍼 모터의 출력 토크의 약 절반 정도만 얻을 수 있습니다.
코일에서 높은 역기전력이 발생하므로 높은 내전압을 갖는 모터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게시 시간: 2022년 11월 9일